Creep은 보컬리스트인 톰 요크에 의해 쓰여졌다. 라디오헤드는 Creep을 1992년 그들의 데뷔 싱글앨범으로 발매했고, 그리고 후에 그들의 첫 앨범인 Pablo Honey (1993)에 이 곡을 실었다.

처음에 Creep은 차트에서 그리 성공하지 못했지만 1993년의 재발매 때 이 노래는 세계적으로 히트를 치게 되었다. 그러나 라디오헤드는 팬들이 그들의 공연에서 Creep만 좋아하는것을 싫어하게 되었다.
(그들이 그 노래를 처음으로 연주하고 나면 다수의 팬들이 공연장을 떠나버리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하였다).

1990년 중부터 말까지 Creep은 공연장에서 더욱 드물게 연주되었고, 1998년에 라디오헤드는 이 곡을 공연 리스트에서 완전히 없애버렸다. 이 곡은 2001년까지 라이브로 좀처럼 연주되지 않았고, 밴드의 라이브 세트에서 가끔 나타날 뿐이었다. 그러나 2009년, 이 곡은 남미와 멕시코의 Spring tour때 완벽히 연주되었다.

이것은 그들이 그 때까지 그쪽 구역에는 오랜기간동안 투어를 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다. Creep은 라디오헤드의 수많은 히트곡들 중의 하나이며, Alanis Morrissette, 시나 링고, 그리고 Damien Rice를 포함한 뮤지컬 아티스트들이 부르기도 했다.
 
톰 요크는 1980년 말, Exeter University에 다닐 때 Creep을 썼다. 라디오헤드의 기타리스트인 조니 그린우드는 이 노래가 밴드의 쇼에 뜻밖에 나타난, 톰이 쫓아다녔던 한 여자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이라고 했다.

1집 Pablo honey에 수록되어있는 creep이라는 곡입니다.

너무나도 유명한 노래죠 다들 한번쯤은 들어봤을만한 노래.

저같은 경우는 이 노래를 처음 들었을때 3시간 가까이 이 노래만 무한반복해서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.






When you were here before, 
Couldn't look you in the eye 
You're just like an angel, 
Your skin makes me cry 

You float like a feather 
In a beautiful world 
I wish I was special 
You're so fuckin' special 

But I'm a creep, I'm a weirdo 
What the hell am I doin' here? 
I don't belong here 

I don't care if it hurts, 
I wanna have control 
I want a perfect body 
I want a perfect soul 

I want you to notice 
when I'm not around 
You're so fuckin' special 
I wish I was special 

But I'm a creep I'm a weirdo 
What the hell am I doin' here? 
I don't belong here, ohhhh, ohhhh 

She's running out again 
She's running out 
She run run run run... 
run... run... 

Whatever makes you happy 
Whatever you want 
You're so fuckin' special 
I wish I was special 

But I'm a creep, I'm a weirdo 
What the hell am I doin' here? 
I don't belong here 

I don't belong here... 

'Radiohea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hinking About You - Radiohead  (0) 2011.11.11
Stop Whispering - Radiohead  (0) 2011.11.05
Radiohead - Creep (Live)  (0) 2011.11.04
Radiohead - Creep Live 94  (0) 2011.11.04
Radiohead  (0) 2011.11.03

라디오헤드의 결성 멤버들은 옥스퍼드셔 주 애빙던에 있는 공립 남학교 애빙던 스쿨에서 만났다. 톰 요크콜린 그린우드는 동급생이었고 에드 오브리언필 셀웨이는 그들보다 한 학년 선배였고, 조니 그린우드는 두 학년 후배였다.

1985년 그들은 "On a Friday"란 이름으로 밴드를 만들었다. 이러한 이름이 쓰이게 된 계기는 그들이 주로 학교 음악실에서 모이는 날이 금요일이었기 때문이다. 그들은 늦은 1986년에 옥스퍼드셔 주 제리코 타번이라는 펍에서 처음으로 연주회를 열었다.
그때까지만 해도 원래 조니 그린우드는 키보드 연주자였다. 하지만 곧 리드 기타리스트가 되었다. 



비록 톰 요크, 오브리언, 셀웨이, 콜린 그린우드가 대학을 다니기 위해 1987년에 애빙던을 떠났지만, 밴드는 종종 주말과 휴일에 연습하는 것을 계속하였다.

1991년 조니를 제외한 다른 멤버들이 모두 대학 학위를 마쳤을 때 On a Friday가 재결성됐다. 그들은 Manic Hedgehog같은 데모들을 녹음하기 시작했고 옥스퍼드를 돌며 라이브 공연들을 가졌다.

1980년대에 옥스퍼드셔 주와 템스 밸리에서는 한창 인디 붐이 일고 있었고 그 중심에는 라이드(Ride)나 슬로우다이브(Slowdive) 같은 슈게이징 밴드들이 있었다.

On a Friday는 전혀 그 유행에 적합하지 않았다. 그들이 유행을 따라가지 못한 이유는 그들이 대학에서 막 돌아왔을 때였기 때문이라고 한다.


 그럼에도 불구하고, 그들의 라이브 공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음반사들의 관심도 증가하기 시작했다. Slowdive의 프로듀서이자 옥스퍼드 컨트리야드 스튜디오의 공동 소유자인 크리스 허포드는 제리코 타번에서 있었던 On a Friday의 초기 콘서트에 있었다.

그들에게 깊은 감명을 받은 그는 그의 동료인 브라이스 엣지와 On a Friday의 데모 테이프를 프로듀스하고 매니저로 참여하게 되었다. 그들은 지금도 라디오헤드의 매니저이다.

콜린 그린우드가 일하던 한 레코드 샵에서 EMI의 인재 발굴자인 케이스 워젠크로프트와의 우연한 만남이 있은 후 그들은 그들의 여섯 번째 공식 앨범까지의 계약을 맺게 될 그 음반사에 계약을 맺었다.


음반사의 요구에 따라 그들은 그들의 밴드명을 토킹 헤즈(Talking Heads)의 앨범 True Stories에서 영감을 받은 Radiohead로 고치게 되었다.


'Radiohea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hinking About You - Radiohead  (0) 2011.11.11
Stop Whispering - Radiohead  (0) 2011.11.05
Radiohead - Creep (Live)  (0) 2011.11.04
Radiohead - Creep Live 94  (0) 2011.11.04
Radiohead creep  (0) 2011.11.04